정규분포와 시그마범위 대하여
1시그마 범위: 모든 데이터의 약 68.3%
2시그마 범위: 모든 데이터의 약 95.4%
3시그마 범위: 모든 데이터의 약 99.7%
정규분포와 식시시그마
중심 극한 정리에 따르면 정규분포는 어떤 확률분포에 대해서도 적용되는 대단히 좋은 확률분포인 데다, 또한 관측 오차를 설명하는 확률분포이기도 하므로, 세상 모든 일이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생각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결론이라 하겠다. 정규분포라는 이름 또한 그런 뜻에서 지어진 것이었다. 지극히 정상정인 분포라는 뜻이다. 어떤 현상을 관찰한 결과가 정규분포를 따르지 않는다면, 그것은 자료가 부족한 것으로 생각될 정도였다.
정규분포 곡선. 그림에는 평균값(μ, 뮤) 에서 표준편차(σ, 시그마) 간격마다 해당되는 확률 분포의 값이 표시되어 있다.
세상 많은 일들이 이 정규분포를 따른다.
[네이버 지식백과]
정규분포 - 세상을 설명하는 분포? (수학산책, 박부성)
[출처] 정규분포와 시그마 범위|작성자 wiwiwiii
'공부하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타일러스펜, AES랑 EMR 차이는? (0) | 2020.11.12 |
---|---|
명태와 노가리가 같은 물고기라고? (0) | 2020.10.24 |
냉장고 용어 알아보기 (0) | 2020.02.04 |
‘필터 클린봇’ (0) | 2020.01.30 |
엑셀로 회귀분석하기 (0) | 2019.11.14 |